반응형 다른 생각이 있다100 은행은 달러 송금 받을 때도 수수료를 너무 많이 받아간다. 씨티은행을 주거래 은행으로 이용하고 있다. 얼마전 해외에서 / 해외로부터 돈을 받을 일이 있었다.해외의 금융기관에 있는 돈을 한국 씨티은행으로 송금하였다. 물론 해외 금융기관은 송금 수수료를 칼같이 받는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은 한국 씨티은행은 받기만 하는데도 핸들링 handling 비용을 수수료로 받았다. 이건 법적으로 나와있는 수수료라서 문제가 되진 않는 사실이지만, 너무 심하다는 생각이 든다.돈을 받는 은행쪽에다가 예금주가 돈을 왜 내야 하나? 그리고 웃긴건 얼마를 수수료로 받아가는지 통장에 기록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어쩜 이렇게 투명한 은행인지... 고객이 요구해야지만 그나마 수수료 내역을 알 수 있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돈을 받는데 왜 돈을 은행에 내야 하는지 모르겠다. 더 가관인 것은 그 다음.. 2018. 9. 11. 다소 꼬여있는 현대카드 전월 실적 기준 할인 산정 방식 현대카드 M2 를 쓰고 있는데 전월 실적이 50만원이 넘으면 이런저런 할인을 해 준다.스타벅스 할인, CGV 할인 등...그런데 7월청구서 8월청구서 9월청구서 모두 50만원을 넘겼는데 8월에 할인을 받은게 없었다.이상하여 문의했더니 8월에 할인 되는 곳에서 사용하였으나 7월 사용금액이 50만원을 넘지 않았단다. 무슨 말이냐 난 50만원 넘게 청구서를 받았다. 했는데, 알고보니 이 금액에는 그 전에 할부로 끊었던 결제건이 있었고 그 할부의 2회차 이후 할부 금액이 포함된 내용이었다. 따라서 1회차 할부 발생 금액이 있던 6월에 전체 금액을 실적으로 잡고 그 후 할부 차수는 해당월의 실적이 되지 않는다는 설명.즉 할부를 1월에 끊고 2월부터는 2회차 할부건과 일시불 한 건을 결재하였다면 2월의 실적은 일시.. 2018. 9. 11. 넷플릭스의 월단위 결제는 누구의 표준일까? 넷플릭스 영화 많아지고 좋아졌다. 6개월 전쯤 비밀의 숲 보고나서 그만보고 싶어서 해지해 뒀었는데 오랫만에 다시 재가입했더니 영화가 상당히 많아졌다. 미국에서 나온 뉴스로는 디즈니가 별도의 서비스를 만들겠다고 하고 마블도 인수하고 그래서 넷플릭스에 디즈니 콘텐츠나 마블 영화들이 업데이트가 안 될 줄 알았는데 의외로 디즈니 만화들이 꽤 많이 올라오고 마블 시리즈 - 루크케이지 - 같은 건 새 시즌이 올라왔다. 아이언피스트도 새 시즌이 9월 중 올라온다고 하네. 디즈니와 기존에 맺은 계약 때문인지 모르겠다.아무튼 오늘 이야기는 넷플릭스의 월 결제 방식인데. 이게 한달에 9500원 정도이다. 동시에 1군데서만 보는 조건의 상품이다. 가입하고 결제하고 그대로 두면 자동 연장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게 한국 사람.. 2018. 7. 30. 믿을 수 없는 곰플레이어, 다음팟플레이어 업데이트 한번 쯤 혹은 여러번 겪고 있는 문제 중 하나는 영화를 보거나 할 때 곰플레이어나 다음 팟플레이어, 그리고 네이버 플레이어 등을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궁금한 것이 있다. 거의 일주일에 한번 꼴로 실행할 때마다 새로운 업데이트가 있다고 뜨는 지 모르겠다. 정말 기능상의 개선이 많이 있는 것도 아닌데 영상 하나를 보려면 또 업데이트야? 하면서 업데이트를 해야 한다.합리적인 의심은 그들의 마케팅 수법을 쳐다보게 만든다. 매번 설치 과정에서 두 플레이어 모두 추가 소프트웨어와 시작 페이지 변경을 기본값으로 바꾸어 놓는다. 팟플레이어는 다음으로 네이버 플레이어는 네이버로 브라우저 초기화면을 뒤집어 놓기 위해 매번 영상을 보려고 하는 초반 1분 이상을 낭비해야 한다.물론 소프트웨어가 무료이다보니 이런 짓은 감수해.. 2018. 7. 6.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5 다음 728x90 반응형